노션 데이터베이스의 관계형 속성을 사용하면 2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롤업을 사용해서 한쪽 데이터베이스의 속성값에 다른 한쪽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집계해서 보여줄 수 있다. 롤업 속성에 대해 알아보고 간단한 가계부 페이지를 만들어보자.
롤업

롤업(Roll Up)이라는 말은 데이터를 집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하면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각 그룹별도 값을 요약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가계부 내역에 식비, 교통비와 같은 카테고리 항목이 있다고 해보자. 그러면 롤업을 이용해 카테고리별 지출 내역을 만들 수 있다. 가계부 내역을 카테고리별로 그룹화해서 각 그룹별로 값을 합산해서 요약하면 카테고리별 지출내역이 된다.
노션 데이터베이스에서 롤업은 롤업 속성을 이용하면 된다.
관계형으로 연결된 2개의 데이터베이스가 있을때, 롤업을 이용해 어느 한쪽에서 다른쪽 데이터의 합산값이나 평균같은 집계 연산값을 속성으로 추가할 수 있다.
롤업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의 속성값을 집계하므로 롤업 속성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관계형 속성이 우선적으로 있어야 가능하다.
롤업 속성 만들기
노션에서 롤업 속성을 만들기 위해서는 관계형 속성이 먼저 필요하다.
2개의 데이터베이스를 관계형 속성으로 연결한 후에, 롤업 속성을 추가해주면 된다.
속성 추가
속성 추가 후에 속성 유형에서 롤업을 선택한다.

관계형 선택
다음으로 속성 편집 화면이 나타나고 관계형 속성을 선택하는 옵션이 있다. 롤업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현재 데이터베이스에 관계형 속성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야만 여기에서 선택할 수 있다.

속성 선택
관계형에 선택된 데이터베이스의 속성을 선택한다. 여기에서 선택한 속성이 롤업 집계 연산에 사용된다.

계산 선택
롤업에서 집계 연산에 사용할 계산 방식을 선택한다. 항목의 개수를 세거나 합계나 평균같은 수치 연산을 할 수 있다.

롤업 계산 유형
롤업을 통해 집계하는 계산 유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롤업의 대상 속성의 유형에 따라서도 계산 유형이 다르다. 예를 들어 날짜 속성인지 숫자 속성인지에 따라 계산 유형이 달라질 수 있다.
계산 유형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뒤에서 만들게 될 가계부 데이터베이스에서 롤업 계산 유형을 바꿔가면서 직접 사용해보면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계산 유형 | 설명 |
---|---|
원본 표시 | 연결된 대상 속성을 원본 그대로 나타낸다. |
고유한 값 표시 | 원본 표시와 같은대신 중복된 값은 한번만 나타낸다. |
수 | 대상 속성의 개수를 표시한다. 모두 세기, 빈 값, 비어있지 않은 값 등의 유형이 있다. |
비율 | 빈값 또는 비어있지 않은 값의 개수를 백분율(%)로 나타낸다. |
수 | 숫자 속성값의 합계, 평균, 중앙값, 최소, 최대, 범위 등의 값을 계산하여 표시한다. |
날짜 | 날짜 속성값의 가장 이른 날짜, 가장 최근 날짜, 기간 등을 계산하여 표시한다. |
가계부 만들기

데이터베이스와 관계형, 롤업 속성을 이용하여 가계부 페이지를 만들어보자.
지출 내역 데이터를 가지는 가계부 데이터베이스와 지출 항목을 카테고리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2개의 데이터베이스를 관계형 속성으로 연결한 후에 롤업 속성을 이용해 카테고리별 지출 내역 합계를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만들것이다.
지출내역 데이터베이스

가계부의 지출내역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아래와 같이 3가지 속성을 만든다.
속성 | 유형 | 설명 |
---|---|---|
이름 | 기본 속성 | 지출 내역을 설명하는 이름 |
날짜 | 날짜 | 지출한 날짜 |
금액 | 숫자 | 지출한 금액 |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

지출의 유형을 식비, 교통비 등과 같이 카테고리로 만들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지출내역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여 지출내역마다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줄것이다.
관계형 속성으로 연결

지출내역 데이터베이스에 관계형 속성을 추가한다. 속성 편집화면에서 2가지 속성을 설정한다. 양방향 관계형을 꼭 켜짐으로 하도록 한다.
- 관계형 대상 : 카테고리
- 양방향 관계형 : 켜짐

속성편집을 완료하고 나면 지출내역과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에 관계형 속성이 모두 추가된다.
지출내역 데이터베이스에서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이제 지출내역을 추가할때 카테고리 속성에서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해주기만 하면 된다.
카테고리별 합계 롤업 속성

이제 마지막으로 카테고리별 지출내역의 합계를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만든다. 카테고리 테이블에서 각 항목별 합계를 볼 수 있다면, 내가 어디에 지출을 많이 하는지 쉽게 파악이 가능하다.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새 속성을 추가하고, 롤업 유형을 선택한다.
속성 편집에서 아래의 옵션을 선택한다.
- 관계형: 지출내역 (대상 데이터베이스)
- 속성: 금액 (대상 데이터베이스의 속성)
- 계산: 합계 (선택한 속성의 집계 계산 방식)

카테고리 테이블에서 지출내역 속성은 가리고, 이름과 합계만 보이게 하자. 지출내역 속성 헤더를 클릭하면 팝업메뉴에서 “보기에서 숨기기“가 표시된다. 이것을 선택하면 해당 속성이 숨겨진다. 숨기기는 삭제랑은 다르게 보이지만 않는 것일뿐이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에서 항목과 합계만 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관계형 속성과 롤업 속성을 이용해 간단한 가계부 페이지의 지출 카테고리별 합계 기능을 만들어보았다. 롤업의 기본 개념과 사용법을 이해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