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션은 문서의 기본 단위는 블록(Block) 이다. 노션 문서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블록을 알아야 한다. 마치 레고 블록처럼 블록 하나하나를 조립해서 형태를 만드는 것과 같다. 엑셀의 기본단위가 셀인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블록만 자유자재로 사용할 줄 안다면 노션을 거의 자유자재로 사용할 줄 아는 것이다.
블록 – 심플하면서 확장 가능한 구조
블록(Block) 이란?

블록
노션 문서는 웹사이트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넣을 수가 있다. 이런 다양한 콘텐츠를 문서에 자유롭게 넣기 위해 블록 구조를 사용한다. 문서의 모든 콘텐츠는 블록안에 들어있는 것이다.
다양한 유형의 블록을 만들수 있으며, 블록 안에 원하는 내용을 채워넣기만 하면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하나의 블록을 원하는 위치로 자유자재로 배치할 수 있다.
노션은 이렇게 블록을 만들고 배치함으로써 페이지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단순 텍스트, 이미지, 표등의 기본 블록부터 캘린더, 지도, 외부 프로그램까지 연동된 블록을 만들 수 있어서 정말 다양한 형태의 문서를 만들 수 있다.
노션은 페이지의 조합이고 페이지는 결국 블록의 조합이다.
블록 만들기
노션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 블록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자. 2가지 방법이 있는데 아주 간단하다.
- 라인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면 라인 왼쪽에 + 아이콘이 보인다. 이것을 누르면 삽입할 블록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블록선택창이 나온다.


2. 키보드로 / 를 입력하면 블록의 종류를 선택하는 블록선택창이 나온다. /를 입력후에 블록의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이름으로 필터되서 블록 리스트가 보여지게 된다.

2가지 중에 편한 방식으로 사용하면 된다. 개인적으로는 / 키를 입력하는 방식을 많이 쓴다.
이제 블록선택창에서 원하는 형태의 블록을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표를 선택해보면 아래와 같이 비어있는 표가 생성된다.

블록을 선택하지 않고 그냥 텍스트를 입력한다면 기본적으로 일반 텍스트 블록이 된다.

위의 예제에서 블록 만들기라는 페이지에는 표와 텍스트 2개의 블록이 있다.
이제 할일은 원하는 형태의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어떠한 블록이 있는지 알아보고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것이다.
블록의 종류
블록선택창을 한번 훑어보면 굉장히 다양한 종류를 볼 수 있다. 어떠한 블록이 있는지를 대략적으로 알아보고 하나씩 만들어보면서 사용법을 익히면 된다. 가장 먼저 기본이 되는 기본 블록을 숙지하도록 하자.
먼저 블록 종류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종류 | 설명 |
---|---|
기본 블록 | 소중대 제목이나 목록, 인용, 구분선, 링크 등과 같이 페이지의 기본적인 요소 |
미디어 | 이미지,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미디어를 보여주는 블록 |
데이터베이스 | 노션의 데이터베이스 기능 |
고급 블록 | 기본 블록에 없는 다양한 고급 기능 |
인라인 | 정확히는 블록은 아님. 콘텐츠 중간에 삽입할 수 있는 이모지나 사용자 멘션과 같은 기능 |
임베드 | 구글맵와 같은 외부 앱을 페이지 내부에 임베드시킬 수 있는 블록 |
이제부터 각 블록에 대해서 하나씩 배워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