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의 기본은 표 형태이다. 하지만 노션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보기 유형이 있다. 보기 유형을 잘 활용하면 노션 페이지를 시각적으로 지루하지 않고, 가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보기

데이터베이스의 보기는 데이터를 보여주는 레이아웃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에서 어떤 포인트를 중섬적으로 보여줄 지 시각화를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똑같은 데이터라도 단순 표 형태가 아닌, 날짜를 중심으로 캘린더 형태로 볼 수 있고, 수치를 중심으로 차트 형태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각 보기 유형의 기본적인 형태를소개하고 이전 포스팅에서 만들었던 프로젝트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해서 어떻게 볼 수 있는지를 보여주도록 하겠다.
보기 만들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보기를 여러개 추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내부 상단에 보기 추가 아이콘 (+)이 있다. 이것을 클릭하면 보기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이 나온다. 여기에서 보기를 선택하면 상단 보기탭에 추가된다.

여러 보기가 추가된 모습은 아래와 같다.

보기 설정
보기에는 다양한 설정값이 있다. 보기 탭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면 보기 편집 메뉴가 있다. 이것을 선택하면 보기 설정을 편집할 수 있는 팝업창이 열린다.

아래는 표의 보기 설정창이다. 보기 유형별로 조금씩 설정할 수 있는 옵션들이 다르다.

데이터베이스 보기 유형

노션 데이터베이스 보기 유형에는 아래와 같이 7가지가 있다.
- 표
- 보드
- 리스트
- 갤러리
- 타임라인
- 캘린더
- 차트
각각의 보기는 이름만 봐도 대략적인 모양을 유추할 수 있다. 이전 포스팅에서 만든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에 각 보기를 적용해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자.
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면 만들어지는 가장 기본적인 보기 유형이다. 표 형태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레이아웃이다. 데이터베이스를 가장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유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때 시작점이 되는 보기 유형이다.
이미 지난 포스팅에서 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 프로젝트 관리 페이지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므로, 지난 포스팅을 보면 사용법을 알 수 있다.
보드

데이터를 그룹화해서 보드 형태로 데이터를 보여준다.
위의 보드에서는 프로젝트의 진행상태로 그룹을 나눠서 그룹에 속한 항목을 보여준다.
그룹화
그룹화의 기준은 보기 설정 ➞ 그룹화 ➞ 그룹화 기준 에서 설정할 수 있다.
하위 그룹화
하위 그룹화의 기준을 설정하여 2열과 행으로 2가지 기준으로 그룹화를 할 수도 있다.

하위 그룹화 설정은 보기 설정 ➞ 하위 그룹화에서 기준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표시 속성
보드에 표시할 속성을 선택할 수 있다. 위의 예제에서는 보드에 이름 속성만 보이도록 설정하였다.
보여줄 속성 설정은 보기 설정 ➞ 속성 에서 선택할 수 있다.
리스트

리스트 보기는 항목을 리스트 형태로 보여준다. 그룹화를 해서 리스트를 볼 수 있고, 그룹없이 하나로 볼 수도 있다.
그룹화
그룹화의 기준은 보기 설정 ➞ 그룹화 ➞ 그룹화 기준 에서 설정할 수 있다. 그룹화 없음을 선택할 수 있다.
표시 속성
리스트에 보여줄 속성을 선택할 수 있다. 꼭 보여주어야 하는 정보만 보여주는 것이 가시성에 좋다.
보여줄 속성 설정은 보기 설정 ➞ 속성 에서 선택할 수 있다.
갤러리

갤러리는 위의 이미지와 같이 사진 갤러리 형태로 데이터베이스를 보여준다. 이미지를 이용해 시각화하기 가장 좋은 방법이다.
각 카드에 속한 이미지를 지정할 수 있고, 카드의 크기도 변경 가능하다.
또한 원하는 속성을 기준으로 그룹화 가능하다.

타임라인

데이터를 시간순으로 시각화하는 유형이다. 타임라인을 이용하면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시간 순으로 한눈에 파악하기 쉽다.
원하는 속성으로 그룹화를 해서 타임라인을 볼 수도 있다.

캘린더

캘린더는 날짜 속성의 데이터를 캘린더로 시각화해서 볼 수 있는 보기 유형이다. 날짜는 1개의 날짜뿐만 아니라 기간이 될 수도 있다.
캘린더를 월단위가 아닌 주단위로 보는 것도 가능하다.
차트

차트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를 수치화해서 시각화하기 가장 좋은 보기 유형이다.
차트 유형은 아래와 같이 4가지가 있다.
- 세로형 막대
- 가로형 막대
- 꺽은선
- 도넛




데이터의 성격에 맞게 원하는 형태의 차트 유형을 선택해서 시각화에 활용할 수 있다.